본문 바로가기

가족관계 호칭 이것으로 정리 끝

호치's 2025. 4. 2.

가족이나 친척을 부를 때 어떤 호칭을 써야 할지 고민되신 적 있으신가요?

우리말의 가족 호칭은 유독 복잡한 편이라 정확히 알아두면 예절을 지키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이번 글에서는 가족관계에서의 다양한 호칭들을 한눈에 알아볼 수 있도록 깔끔하게 정리해보겠습니다.

섬네일
섬네일

1. 촌수로 알아보는 가족관계

먼저 가족 간의 관계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촌수'에 대해 간단히 알아보겠습니다.

  • 1촌: 부모, 자녀
  • 2촌: 형제자매
  • 3촌: 부모의 형제자매(삼촌, 고모, 이모 등), 형제자매의 자녀(조카)
  • 4촌: 조카의 자녀, 조부모의 형제자매(종조부/종조모)
  • 5촌: 종조부의 자녀(당숙, 당고모)
  • 6촌: 당숙의 자녀(재종형제)
  • 7촌: 재종형제의 자녀(재종질)
  • 8촌: 재종질의 자녀(삼종손)

📌 참고로 4촌을 넘어가는 관계부터는 일상적으로 왕래가 드물기 때문에, 공식적인 자리를 제외하고는 호칭을 잘 사용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2. 친가와 외가 쪽 호칭 정리

외가 쪽(어머니 쪽) 호칭

  • 어머니의 남자 형제: 외삼촌 외삼촌의 배우자: 외숙모
  • 외삼촌의 자녀: 외종형제
  • 어머니의 여자 형제: 이모
  • 이모의 배우자: 이모부
  • 이모의 자녀: 이종형제

친가 쪽(아버지 쪽) 호칭

  • 아버지의 형: 백부
  • 백부의 배우자: 백모
  • 아버지의 남동생: 숙부
  • 숙부의 배우자: 숙모
  • 아버지의 사촌 형제: 당숙 (남성), 당고모 (여성) 각각의 배우자는 당숙모, 당고모부

3. 부부 사이의 가족 호칭

남편의 가족을 부를 때

  • 남편의 부모님: 시아버지, 시어머니
  • 남편의 형: 아주버님
  • 아주버님의 배우자: 형님
  • 남편의 남동생: 미혼일 경우는 도련님/ 기혼일 경우는 서방님 (그 아내는 동서)
  • 남편의 누나: 형님
  • 형님의 남편은 아주버님 또는 서방님 남편의 여동생: 아가씨
  • 아가씨의 남편은 서방님

📌 ‘서방님’이라는 호칭은 일반적으로 남편을 부를 때 쓰이지만, 시댁의 남성 가족에게도 사용되는 경우가 있어 다소 헷갈릴 수 있습니다.

 

✅  아내의 가족을 부를 때

  • 아내의 부모님: 장인어른, 장모님 아내의 오빠: 형님
  • 아내의 남동생: 처남
  • 처남의 배우자: 처남댁
  • 아내의 언니: 처형
  • 처형의 배우자: 형님 또는 동서 아내의 여동생: 처제
  • 처제의 배우자: 동서

📌 남편이 아내의 가족을 부를 때도, 예의를 갖춘 존칭이 사용되며 시댁과 유사한 체계를 따릅니다.

4. 외갓집과 사돈 간의 호칭

  • 외삼촌의 며느리: 외종수
  • 외사촌의 자녀: 외당질
  • 외당질의 배우자: 외당질부
  • 아버지의 외사촌 형제: 진외당숙

📌 이러한 호칭들은 평소 자주 사용되기보다는 차례, 제사, 혼례 등 격식을 갖춘 자리에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마무리하며

가족관계 속에서 사용하는 호칭은 단순한 호칭 이상의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관계의 친밀도, 예의, 전통적인 가치관까지 반영되기 때문에 정확하게 알고 사용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 소개해드린 내용을 바탕으로 다양한 상황에서도 당황하지 않고 적절한 호칭을 사용할 수 있으시길 바랍니다.

가족 간의 예절은 작은 말 한마디에서 시작됩니다. 이 글이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셨기를 바랍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