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네이버 애드포스트 종합소득세 신고 방법 총정리 (750만 원 기준, 분리과세 가능?)

호치's 2025. 5. 7.

애드포스트 수익도 세금 신고 대상일까요? 기타소득 750만 원 기준,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선택 기준, 홈택스 신고 방법까지 알기 쉽게 정리했습니다.

섬네일
섬네일

1. 애드포스트 수익, 세금 신고 대상인가요?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도 과세 대상입니다.

다만 이 수익은 '일시적이고 부수적인 성격'이 강하므로, 일반적인 사업소득이 아닌 기타소득으로 분류됩니다.

▶ 기타소득이란?

  • 강연료, 자문료, 원고료 등과 같이 일시적 수익
  • 연속적이고 정기적인 활동이 아닐 경우 해당
  • 네이버 애드포스트 수익도 대부분 기타소득으로 처리됨

2. 기타소득 vs 기타소득금액의 차이 이해하기

용어를 정확히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구분 의미 예시
기타소득 실제 수령한 전체 수익 예: 750만 원 수익
기타소득금액 기타소득에서 60% 필요경비를 공제한 금액 750만 원 x 40% = 300만 원

즉, 750만 원 수익이면 과세 대상 기타소득금액은 300만 원이 됩니다.

3. 신고 기준 요약

다음과 같이 본인의 상황을 단계별로 점검해보세요.

1. 애드포스트로 1년간 받은 금액이 얼마인가요?

→ 750만 원 이하인가요?

2. 60%의 필요경비를 공제한 후 금액은 얼마인가요?

→ 총수입의 40%가 300만 원 이하인가요?

3. 기타 다른 수익도 있나요?

→ 쿠팡파트너스, 애드핏, 체험단, 유튜브 수익 등

4. 분리과세 선택이 가능한 경우 (기타소득금액 300만 원 이하)

만약 필요경비를 공제한 기타소득금액이 300만 원 이하라면, 분리과세로 간단하게 마무리할 수 있습니다.

  • 이미 원천징수된 세금(8.8%)으로 세금 처리가 끝납니다.
  •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 없이도 가능합니다.
  • 단, 다른 환급이 없고, 복잡한 소득 구조가 아닐 때만 추천합니다.

예시)

  • 애드포스트 수익: 700만 원
  • 필요경비: 420만 원
  • 과세대상: 280만 원 → 분리과세 가능

5. 종합과세 대상인 경우 (기타소득금액 300만 원 초과)

기타소득금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면 다른 소득과 합산하여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해당되는 소득

  • 근로소득 (직장인)
  • 사업소득 (블로그 체험단, 유튜브, 틱톡 등)
  • 기타소득 (애드센스, 쿠팡파트너스 등)

종합과세의 특징

  • 누진세율 적용
  • 공제 항목 입력 가능
  • 세금을 더 낼 수도 있지만, 환급 받을 수도 있음

6. 홈택스에서 종합소득세 신고하는 방법

  1. 홈택스 접속 → 로그인
  2. [종합소득세 신고] → [정기 신고하기] 클릭
  3. ‘모두채움 신고서 작성’ 선택
  4. ‘기타소득’ 항목 체크 → [소득 불러오기]
  5. ‘네이버 주식회사’ 선택 → 애드포스트 수익 자동 입력
  6. 공제 항목(기부금, 연금저축, 의료비 등) 입력
  7. 환급 계좌 등록 → 제출

7. 환급이 가능한 조건은?

다음 중 하나라도 해당하면 환급 가능성이 있습니다.

  • 근로소득 등과 합산했더니 총세율이 낮아진 경우
  • 연금저축, 기부금, 교육비 등 공제를 많이 받은 경우
  • 원천징수(8.8%)보다 실제 산출세액이 적은 경우

📌 단순히 무조건 환급이 되는 것은 아니며, 본인의 소득 구조와 공제 항목에 따라 달라질 수 있습니다.

8. 반드시 5월 31일 전에 신고하세요!

  • 신고 기간: 2025년 5월 1일 ~ 5월 31일
  • 신고 방법: 홈택스 또는 손택스 앱 사용
  • 미신고 시: 무신고 가산세, 납부 지연가산세가 부과될 수 있음

9. 자주 묻는 질문 (FAQ)

Q1. 애드포스트 수익만 있다면 신고 안 해도 되나요?

→ 아닙니다. 기타소득금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거나, 다른 소득이 있을 경우 반드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Q2. 기타소득금액이 280만 원인데 분리과세 선택하면 홈택스에서 아무것도 안 해도 되나요?

→ 원천징수로 마무리되기 때문에 원칙적으로 신고는 선택입니다. 다만, 다른 소득이 있다면 신고를 통해 환급받는 것이 유리할 수 있습니다.

Q3. 750만 원을 기준으로 분리과세 가능하다는 건 무슨 뜻인가요?

→ 기타소득은 60%가 필요경비로 공제됩니다. 따라서 수익이 750만 원 이하이면 과세 대상 금액이 300만 원 이하가 되어 분리과세가 가능합니다.

Q4. 직장 다니는 사람도 애드포스트 수익 신고해야 하나요?

→ 네. 근로소득이 있더라도 기타소득이 일정 금액을 초과하면 합산하여 종합과세로 신고해야 합니다.

Q5. 쿠팡파트너스, 체험단 수익도 함께 신고해야 하나요?

→ 같은 기타소득으로 분류되므로 애드포스트 수익과 합산하여 신고해야 합니다. 합산금액이 300만 원을 초과하면 분리과세 불가입니다.

Q6. 분리과세와 종합과세 중 어느 쪽이 더 유리한가요?

→ 상황에 따라 다릅니다. 환급받고 싶다면 종합과세가 유리할 수 있고, 간단하게 마무리하고 싶다면 분리과세가 적합합니다.

마무리하며

애드포스트 수익은 크든 작든 과세 대상이며, 기타소득으로 신고 기준과 방법이 정해져 있습니다.

특히 750만 원이라는 수익 기준을 잘 기억하시고, 기타소득금액이 300만 원 이하인지 여부에 따라 분리과세 여부를 판단하시면 됩니다.

이번 5월, 처음으로 종합소득세 신고를 하시는 분들도 홈택스 자동 불러오기 기능을 잘 활용하신다면 충분히 혼자서도 가능하니 꼭 도전해보시기 바랍니다. 혹시라도 더 궁금한 점이 있다면, 댓글이나 세무 전문가의 상담도 고려해보세요.

댓글